2025/01/22 8

[20250122]1990년대 의왕 왕송호수 겨울 얼음낚시

2025.01.22/ #기록 #의왕 #아카이브 #옛사진/ 의왕 고천동 왕송저수지에서의 1990년대 겨울철 얼음낚시 모습, 사진출처: 의왕문화원의왕시 관내에는 농업용수로 이용하던 저수지가 3개나 있다. 청계동의 백운호수, 부곡동의 왕송호수, 오전동의 오매기저수지.왕송호수(旺松湖水)는 경기도 의왕시 남부, 황구지천 상류에 위치한 제방 길이 640 m, 높이 8.2 m, 만수면적 0.96 km2의 호수이다. 1948년 1월에 준공되었으며, 이름은 설치 당시 수원군 일왕면의 '왕'과 매송면의 '송'자를 따서 붙여졌다.인공호수로 2014년까지는 공식 명칭이 왕송저수지였지만, 2014년 제3차 국가지명위원회에서 왕송호에 공원 시설이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현재의 명칭으로 바꾸는 것을 가결하였다. 2016년 4월 20..

[20250122]1980년대 의왕 오매기저수지 겨울 풍경

2025.01.22/ #기록 #의왕 #아카이브 #옛사진/ 1980년대 의왕 오전동 오매기저수지에서의 겨울 풍경.  오매기저수지는 언제부터인가 명칭이 오전저수지로 바뀌었다. 사진 출처: 의왕문화원의왕시 관내에는 농업용수로 이용하던 저수지가 3개나 있다. 청계동의 백운호수, 부곡동의 왕송호수는 잘 알려져 있지만 오전동의 오전저수지는 의왕에 사는 사람들도 잘 모를 정도로 깊숙한 곳에 자리하고 있다.오전저수지는 의왕시 오매기마을을 지나 하늘공원(납골당) 가는 길 왼쪽으로 천을 따라 올라가면 흙으로 쌓은 제방이 나타난다. 이곳이 오전저수지로 제방길이가 83m, 높이 10.7m, 만수면적 1.3ha의 저수지로 1961년에 조성되었다. 오전저수지는 고요한 산속에 비밀스럽게 자리해 한낮인데도 시퍼런 소류지의 물은 마치..

[안양권지도]1918년 경성(京城) 지도에서 본 시흥군지역

2025.01.22/ #지도 #기록 #아카이브/ 조선총독부 시절 제작한 경성지도속 시흥군지역.경성(京城 제판연도 1918 J040-001-00 1:200,000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전반까지 일본에 의해 제작되어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사용·보관한 지도이다. 대부분 지형도이며, 각종 주제도와 지도 관련 문서도 포함되어 있다. 지형도는 3차에 걸쳐 제작된 1:50,000의 수량이 가장 많다.1차 지형도는 일본 육군참모본부가 1894~1906년 비밀리에 제작한 것으로, 약도略圖 혹은 군용비도軍用秘圖라고 부른다. 한일합병 이후에는 삼각측량법에 의해 2차 지형도가 제작되었으나, 삼각점망이 완성된 후 중단되었다. 한반도 전역을 포함한 3차 지형도는 1914년~1918년 사이에 제작되었으며, 이후 몇 차례 수정지도..

[안양권지도]1914년 관악산 지도에서 본 안양리 삼막동

2025.01.22/ #지도 #기록 #아카이브/ 조선총독부 시절 제작한 관악산 지도속 안양리(삼막동).관악산(冠岳山) 경성 및 인천지방 7측도연도 1914제판연도 1915 J041-008-005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전반까지 일본에 의해 제작되어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사용·보관한 지도이다. 대부분 지형도이며, 각종 주제도와 지도 관련 문서도 포함되어 있다. 지형도는 3차에 걸쳐 제작된 1:50,000의 수량이 가장 많다.1차 지형도는 일본 육군참모본부가 1894~1906년 비밀리에 제작한 것으로, 약도略圖 혹은 군용비도軍用秘圖라고 부른다. 한일합병 이후에는 삼각측량법에 의해 2차 지형도가 제작되었으나, 삼각점망이 완성된 후 중단되었다. 한반도 전역을 포함한 3차 지형도는 1914년~1918년 사이에 제..

[20250122]평촌과 산본지역의 선사(先史) · 고대유적

수도 서울의 젖줄인 한강을 끼고 그 남방에 위치한 안양, 군포, 의왕, 과천지역에는 이미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고 있었을 것이다. 옛 과천군 동면 신원리(新院里), 남면 부곡리(富谷里)·산본리(山本里) 및 상서면(上西面) 일대에서 청동기시대의 지석묘 등이 출토된 것으로 미루어 보아 이 곳이 거주 지역이었음을 짐작할 수가 있다. 초기의 인류는 어로·채취·수렵 등으로 이동생활을 영위한 후 차차 이동식 농경에서 정주(定住)식 농경으로 생산양식이 발전되었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안.군.의지역은 그들에게 좋은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었을 것이다. 제1절 평촌지역(坪村地域)의 선사(先史) · 고대유적(古代遺蹟) ◉ 1. 개관◉ 2. 평촌마을 지석묘군◉ 3. 신촌마을 지석묘군◉ 4. 기타 지석묘◉ 5. 귀인마을 백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