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지역얘기/사람 76

[25250514]건축예술도시 안양을 꿈궈온 최승원 건축사

건축사뉴스에 실린 글입니다.[인터뷰] 안양의 원로 건축사 앙가주망 건축사사무소 최승원 건축사기자명 이일 기자 입력 2025.05.13 15:46 수정 2025.05.14 11:08 댓글 0https://www.a-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13175&fbclid=IwY2xjawKR46xleHRuA2FlbQIxMABicmlkETFXRHN0VTVSbEhEbGZ2a0g1AR56o6pc7nAt6YNssWTQFuME34Y8ytLpfr4uY9mCvjEpeGpp4hqpZyjfvBpeGw_aem_GlFB1CRPxJLjjHVi5q9UAQ [인터뷰] 앙가주망 건축사사무소 최승원 건축사 - 건축사뉴스경기도건축사회는 올해 60주년을 맞아 건축사들의 활동을 돌아보고 있다. 급격한 산업발전과..

[20250513]마지막 가축위생연구소 안양지소장 `이택주`

[한국수의인물사전 73] 마지막 가축위생연구소 안양지소장 `이택주`등록 2020.09.22 11:26:46 출처: 수의사신문 데일리벳 https://www.dailyvet.co.kr/news/college/136753 한국수의인물사전 73. 이택주(李澤柱, 1916~?). 서울 국립방역연구소(현 국립보건원) 독소항독소부장, 수의사 국가시험 출제위원, 대한수의학회 초대 부회장, 가축위생연구소 본소 소장 및 안양지소장. 1916년 10월 30일 함경남도 북청군 신창면 승평리에서 출생하였다. 도쿄 아자부[麻布]수의전문학교 졸업(1940. 3.) 직후 도쿄 기타사토[北里] 연구소에 입소(1940. 4.)하였으며, 이후 중국 북경화북교통보건과학연구소 혐기성세균연구실 주임으로 근무(1942. 10.~1945. 10..

[20220613]이정범 전 안양시 공보실 사진기사(인천일보 기사)

앵글에 담긴 '안양의 기록' 과거·현재 잇다기자명 노성우 입력 2022.06.13 16:25 수정 2022.06.13 16:35지면 2022.06.14 16면 [이정범 전 안양시 공보실 사진기사]공직 시절 월간 소식지 사진·글 연재퇴직후에도 어제·오늘 모습 매달 기고카메라와 보낸 세월, 어느덧 60년 흘러“평생직업으로 일하게 한 고마운 업” “어려웠던 시절, 그저 먹고 살기 위해 배운 사진기술이 천직이 됐습니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안양의 어제와 오늘을 기록해오는 아주 특별한 이가 있다. 25년간 안양의 구석구석을 누비며 다양한 시책 현장을 카메라 앵글에 담아온 이정범(74·사진) 전 안양시 공보실 사진기사가 그 주인공이다. 10대 때부터 서울에서 사진기사로 일하던 그는 서울농대연습림(현 서울대관악수..

[20250403]안.군.의에 사는 일러스트레이터 <소리여행> 소개

2021.11.02/ #군포 #작가 #일러스트 #소리여행. 군포애 이렇게 훌륭한 일러스트 작가가 있다니.,... 적품 하나하나가 너무 멋지다._소리여행삽화표지일러스트,캘리그리피helenhanmom@hanmail.net 작가소개 사이트: https://soundtravel.creatorlink.net/일러스트 작업 사이트: https://grafolio.ogq.me/search/projects?q=%EC%86%8C%EB%A6%AC%EC%97%AC%ED%96%89&align=POPULAR인스타크램: https://www.instagram.com/sound_travel2020/ 크리에이터를 위한 커뮤니티 | OGQ 그라폴리오다양한 크리에이터의 프로젝트, 배경화면을 만나보세요. 콘텐츠 크리에이터 커뮤니티, OG..

[20250311]안양 출신 독립운동가 하영홍과 삼막골교회

기독교인항일투사. 본관은 진주(晋州) ​시흥현 군내면 안양리 263(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삼막골에서 출생하여 21세 때(1900년) 안양시 석수동 지역에서는 최초로 기독교를 믿기 시작했고, 이듬해 감리교회 지도자교육반을 수료한 후, 삼막골 마을을 그리스도의 마을로 만들기 위해 전도하였다. 이어 전답을 판 돈 180원으로 초가 3간 규모의 삼막골교회를 세워 이 교회의 속장이 되어 광무 5년(1901) 8월 6일 스웨어러(미국인) 선교사와 존스 장로사(현 감리사와 비슷한 직 책)와 각회 교회 형제·자매 70여명이 봉헌예배를 올렸다. 그 후 가세의 빈곤으로 짚신을 팔아 생활하던 중 25세가 되던 광무 8년(1904)9월 14일(음력 8월 5일) 하오 3시 시흥현 내의 한천교(현 광명시 입구의 안양천)에서..

[20250304]안양 출신 독립운동가 夢堂 한흥리(한항길)

2025.03.04/ #인물 #독립운동가 #한흥리 #몽당/ 안양 호계동 출신 독립운동가. 한흥리 韓興履본관: 청주(淸州)아호: 몽당(夢堂),이명 : 한항길(韓恒吉)출신지: 경기 시흥군 서이면 호계리(현재의 안양)생년월일 1900. 7. 18 ~ 1979. 5. 8운동계열: 3·1운동관련 사건: 1919년 서울 남대문역 만세운동포상훈격(연도): 애족장(1990)1919년 3월 5일 서울 남대문역 만세시위 참여본관은 청주(淸州). 호는 몽당(夢堂)이다.  용익(用翼)의 아들로 1900년 7월 18일 부천에서 출생하였으며 어린시절 안양으로 이전하여 동안구 호계동 289번지에서 성장하였다. 경성고등보통학교 2학년에 재학하던 1919년 3월 1일에 탑골공원 밖에서 동료들과 독립선언문을 낭독하였고, 기차 통학생의 ..

[20241006]안양이 놓친 국가무형문화재 이봉주 옹 백수(白壽, 99세)

국가무형문화재 77호(방짜유기)로 안양 박달동에 진유공사를 세워 양대유기를 제작했던 이봉주옹(명예유기장)이 국가무형유산 기능보유자 최초로 백수(白壽, 99세)를 맞이해 지난 6월 19일 (사)국가무형유산기능협회(이사장 이재순) 주최로 축하행사가 열렸다는 소식이다. 이봉주옹이 태어난 곳은 평안북도 정주군 발산마을이다. 정주읍을 중심으로 발산마을은 5㎞, 유기로 유명한 납청은 10㎞ 떨어져 있다. 북한에서는 방짜를 `양대'라 한다. 납청은 양대의 대표고장으로 전국에서 방짜그릇을 그냥 `납청'이라고 부를 정도였으니 그의 출생부터가 방짜와 인연이 깊다.  이옹이 정주에서 살던 때 납청 양대 기술을 배운 것은 아니다. 납청 공방에는 `빽'이 있어야 들어갈 수 있었다. 돈 안 받고 그냥 기술 배우러 들어가려고 해도..

[20240915]2만2천평 땅 기증해 성결대학교 초석 놓은 홍대실 권사

성결대학교(총장 김상식)는 2024년 3월 12일 오후 12시 50분 성결대학교 학술 정보관 6층 야립국제회의실에서 故홍대실 권사의 53주기 추모 예배를 진행했다. 이날 추모 예배는 교목실장인 박정수 목사의 사회로 유족들과 성결대 학생 및 교직원, 교단 관계자 약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홍 권사를 기리는 추모예배가 교단 차원에서 열리기는 처음이다. 故홍대실 권사는 성결대학교 설립자인 故영암 김응조 목사를 도와 성결대의 전신인 성결교신학교를 세우는 데 공헌했으며, 이후 경기도 안양에 자신이 소유한 땅 73.481㎡(22,228평)를 학교 교지로 기증하며  성결교 신학교의 안양캠퍼스 시대를 열게 했으며 4년제 종합대학인 성결대학교의 초석을 마련한 공로자이기도 하다. 안양 성결대학교 설립의 초석..

[20240617]안양사를 세상밖으로 끄집어낸 정덕한 선생

2024.06.17/ #인물 #안양 #정덕한선생/1950년대 유유산업 설립시 문화재 복원 협의1960년대 시흥군 청년학생단체 협의회장 역임1970년대 동덕개발을운영하며 안양역전지하상가 건설.1970년대 만수원주택이라 불리우던 안양6동 문화주택단지 건설1990년대 안양문고 회장안양시의회에 안양사지 발굴 청원중세 만주어 연구 재야학자전남 영광에 바우보리주식회사 설립(바우보리연구소장) [한국일보]서화숙이 만난 정덕한 소장의 자전적 이야기https://m.hankookilbo.com/News/Read/201312201829585650 [한살림회보]정덕한 바우보리연구소 소장http://www.hansalim.or.kr/archives/15100

[20240325]아름다운 청년운동가 故 김애정님 11주기 추모

암투병 끝에 지난 2013년 3월 24일 숨을 거둔 아름다운 청년운동가 故김애정님의 11주기 추모제가 지난 24일 오전 11시 마석 모란공원에서 열렸다. 군포지역에서 열심히 활동했던 그의 삶을 기록으로 남겨본다. 故김애정님은 군포청년회 창립 준비위원 및 제2대 회장, 경기청년연대 중서부권역 의장, 통합진보당 김선동 의원실 보좌관 등 활발한 활동을 이어왔다. 특히 고인은 암투병 와중에도 통합진보당 재건과 당원가입 사업에 앞장서는 등 수많은 당원들에게 귀감이 되기도 했다. 고인은 장례는 2013년 3월 26일 서울 서초동 반포동 서울성모병원에서 '진실한 청년운동가 故김애정동지 애국청년장'으로 치뤄졌으며 마석 모란공원 민족민주열사묘역에 안장됐다. 경기청년진보당 위원장 김도현입니다. 아름다운 청년운동가 故김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