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머신/옛지도읽기

[안양권지도]1976년 안양시(현 동안구 지역) 지도

안양똑딱이 2019. 12. 19. 02:48

 

1977년 3월 국립지리원이 발행한 안양의 현 동안구(비산동.호계동.평촌동-평촌) 1:5000 지도  

1974년 6월 항공촬영

1976년 편집

 

지도 상단에 표시된 하천은 청계저수지(현 의왕시 백운호수)에서 발원해 쌍개울(현 안양 중앙초교앞)에서 안양천과 합류하는 학의천으로 직강화된 지금과 달리 그야말로 구비구비 곡선을 그리고 모래사장이 폭넓게 분포돼 있음을 알수 있다.

지도 상단 우측 관양동에는 대한전선 안양공장(현 평촌 스마트스퀘어로 개발)이 자리하고 있는데 지도에서도 크게 보일만큼 면적이 8만여평에 가까운 260323.2m²에 달한다. 대한전선 우측으로는 태평제지, 신생화학, 태신화학 등 자그마한 규모의 공장들과 밤나무단지의 표기도 보인다.

참고로 안양하면 1950-60년대 안양읍내 전역이 포도밭으로 교과서에도 실릴 정도로 유명했지만 그 이전인 1920-30년대에는 밤나무가 참 많아 전국 밥줍기 대회가 열릴 정도로 밤 생산의 명산지로 유명했다.
실제 동아일보 옛 신문을 보면 1933년(10월1일)과 1934년(10월1일) 신가정(여성동아 전신) 주최로 제1회와 제2회 전국 부인 밤 줍기 대회가 안양에서 열렸는데 장소는 안양3.9동 일대인 노적봉 아래(현재의 성원아파트, 프라자아파트 주변)에서 열렸다.
노적봉은 현재의 안양예고가 자리한 나즈막한 산으로 과거 안양9동의 지명은 율목(栗木)마을, 율목동으로 불리울 정도로 밤나무가 많았다고 한다.
또 1939년 10월 19일자 동아일보 지면을 보면 동아일보 영등포지국 주최 제1회 부인습률대회가 양짓말 밤나무밭 복판 넓은벌에서 열렸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에 앞서 1928년(10월 7일)과 1929년(10월 13일)에도 안양에서 조선일보 주최로 제2회와 3회 여자습률대회가 열렸는데 작고하신 변원신 어르신 말씀에 의하면 담안(장내동, 안양4동, 중앙성당 주변)에서 열렸다고 한다.
안양4동은 과거 밤나무 울타리안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장내동 또는 담안(墻內洞.澹安)이라 불리웠는데 조선시대에는 과천군 하서면 장내리라 칭했던 마을로, 진주 강씨, 전주 이씨, 원주 원씨 등이 세거하면서 취락이 이루어졌는데 밤나무, 뽕나무 등이 많았다고 한다.
일제강점기 때만 해도 대부분의 지역이 밤나무가 무성한 밤동산이었는데 지금의 2001아울렛과 중앙성당 주변은 ‘좌백율원’이라는 대단위 율원이 조성되어 밤을 주우려는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조선일보 주최의 밤줍기 대회 기록은 안양 연표에도 올라 있다.
장내동성당(현 중앙성당)의 역사 기록을 보면 서울교구가 1937년에 밤나무 밭을 교회부지로 매입한 후 목조 함석지붕을 건축했으며, 1956년에는 안양 최초의 유치원을 개설했는데 현 중앙성당 건너편 가톨릭회관 뒷 마당에 있다고 중앙성당 안으로 이전한다.
지도 중간 좌측 비산동 표기 아래는 달안마을(현 동안구 홈플러스 주변)로 가구 수는 13호 정도에 불과했다.

참고로 달안마을은 위쪽으로눈 광복 직전인 1944-45년 안양3동에 조선비행기주식회사(현 대농단지)를 짓고 시제품을 생산하던 일제와 조선비행기주식회사(박흥식)가 비행기 활주로를 건설하려던 곳이다. 

지도 중간 우측에는 민백마을(현 내손동)에는 20~25호 정도의 집들과 라이온상사, 부흥산업, 삼성아세치렌, 10여동의 공장들이 자리했음을 보여준다. 
지도 아래 우측의 호계동은 경수산업도로(현 1번국도) 계획노선을 따라 위에서 부터 안말(현 호계시외버스정류장 주변), 방축말(현 호계중학교 주변), 신기(현 신기사거리 주변) 등 여러 마을들에 100호 이상의 가구들이 표기되어 있을 만큼 당시 꽤 컸다. 

참고로 호계동은 조선시대에는 삼남대로, 시흥대로가 만나는 지점이었으며 지금도 수원시, 과천시, 군포시, 안산시 방면의 교차점으로 예전이나 지금이나 교통의 요충지다.

특히 옛 지도(1872년 지방지도-규장각)를 보면 호계2동 주변에는 조선시대 사창(社倉- 조선 시대, 각 지방의 촌락에 설치한 곡물 대여 기관)이 있었으며 1910년 이전에는 과천군 하서면사무소가 있었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 행정구역이 통폐합되면서 과천군 상서면과 하서면이 서이면으로 통합되면서 서이면사무소가 설치되는 등 1900년대 초반까지 인덕원 남쪽의 민백리, 갈산, 당산미, 도양리, 군포장, 귀인, 신촌, 신기 등의 마을을 아우르는 지역 행정의 중심지였다. 또 안양 최초의 교육시설인 청감서원(호계서원)과 일제 강점기 초에는 낙영학교 등이 자리해 안양 교육의 기초가 된 곳이다.
지도 아래 중간에는 신촌마을과 귀인마을이 표기되어 있는데 표시된 가구 수가 꽤 많다.  
지도 아래 우측 평촌동 우측에 붉은선으로 표기된 도로는 현재의 흥안대로이다. 도로 우측에 갈산마을(현 의왕 내손아파트 주변)이 표기되어 있으며 그조측으로는 안양남초등학교 자리하고 있다. 학교 좌측에는 당산미마을(현 자유공원 주변)이 표기되어 있다. 

 

이 지도는 안양의 원로 건축사인 최승원 교수님께서 소장하고 있으며 이미지 파일을 제공해 주셨습니다.

최승원 건축사는 1945년생으로 서울(종로구)에서 태어나 5살때 안양으로 이사를 와 시대동(현 안양1동)에서 유년시절을 보내며 안양초교와 삼성초교(5회), 안양중학교(12회)를 다녔다. 교육부 실업계 교과서 심의위원, 국립중앙박물관회 평의원, 홍익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고려대학교 건축학과 겸임교수, 한국건축가협회 이사 및 분과위원장, 앙가주망건축사무소 소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최승원 건축도시문화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1986년 본백화점 갤러리에서 최승원건축전을 개최했으며, 1998년 아카시아arcasia건축상 골든메달(천안티센쿠루프)수상했다. 건축 현장에 돌아다니는 나무조각을 수집하여 조형물을 만들던 취미가 이제는 제2의 인생 작업이 되어 부인인 신영옥 섬유공예작가와 부부작품 전시회를 수차례 열기도 했다.
안양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에서는 최승원 건축사로 부터 옛 안양에 대한 기억구술자리를 가진바 있는데 세밀한 기억력으로 담아낼 양이 많아 세차례 가진바 있는데 유년시절, 한국전쟁 피난시절, 기차통학생 시절, 전쟁이후 안양의 거리모습, 교회, 안양영화촬영소에 대한 기억과 비롯 광복직전인 일제강점기 비행기공장과 비행장 건설, 안양지역의 건축물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구술 내용은 2018년 자료집으로 발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