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머신/옛지도읽기 106

[20231214]안양 호계동에 있던 군포장의 군포역 이전 기록

2023.12.14/ #아키이브 #지도 #기록 #역사 #군포장/ 지도속 위 등그라미가 1700년경부터 1926년까지 군포장. 아래 동그라미가 1926년 이후 군포장) 군포장 하면 현재 군포역앞에 있는 군포역전시장을 떠올리지만 역사 속에서 ‘군포’라는 지명이 들어간 군포장은 조선시대 군포천옆현 안양천 구군포교)에서 열렸던 ‘군포천장(軍浦川場)’이 시작으로 지금의 구군포사거리(안양 호계동) 지역이다. 이곳은 삼남길과 시흥대로가 만나는 곳으로 대한제국 시절에는 안양.군포.의왕의 중심지였으며 1926년대 이전까지 전국에서 장돌뱅이들이 모여들 만큼 큰 장이 서던 곳이다. 군포장에서는 1919년 3월 31일 장날 안양.군포.의왕사람들이 모여 만세운동을 시작해 군포역까지 행진했던 출발지였던 역사적인 곳으로 1980년..

[20231126]안양->서울 편입 예정 1970년 새서울계획약도

2023.11.26./ #옛지도 #기록 #새서을계획약도 #since1970/ 서울역사박물관에 보관된 70년도새서울도로번지도시계획약도.1970년대 필중서관에서 발행한 도시계획도이다. 새로 편입될 지역을 표시하고 있으며 지도 하단에는 서울시 토지가격과 한강개발 관련내용이 삽입되어 있다. 시선을 끄는 부분은 안양과 의왕,부천,성남 일부가 서울시로 편입하는 계획이 추진됐었다. 유물명: 70년도새서울도로번지도시계획약도 유물번호: 서울역사022845 유물크기: 가로 : 64.7cm 세로 : 93.5cm재질지(紙)

[20230328]1973년 안양 시 승격 당시 행정구역 개편 지도

2023.03.28/ #아카이브 #옛지도읽기 #안양 #시승격 #since1973년 #만문누리/ 2023년은 안양시가 1973년 읍에서 시로 승격한지 50주년이 되는해로 만문누리 차원에서 관련 자료들을 발굴하고 있다. 이 지도 그림은 1973년 안양읍이 시로 승격될 당시 동아일보 1면에 실렸던 지면(1973.03.01일자)에 그려진수도권 행정구역 개편 삽화다.

[20230323]1989년 소멸된 옛 시흥군의 1981년 관내도

2023.03.23/ #아카이브 #옛지도 #시흥군 #1981년/ 1989년 소멸돼 사라진 시흥군의 1981년 관내도. 1982년 발행된 제22회 시흥군 통계연보에 실린 자료이다. 시흥군(始興郡)은 1895년부터 1988년까지 존재했던 경기도의 행정 구역으로 가장 번창했을 당시 안양시 중앙동(현 안양일범가)에 군 청사가 자리했었으며 소멸 직전에는 안양6동 현 만안평생교육센터 자리에도 잠시 있었다. 원래의 시흥군은 현재의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에 군청을 두고, 서울특별시 금천구를 중심으로 영등포구(양화동 제외) · 관악구(남현동 제외) · 동작구 일부(신대방동, 상도동) · 구로구 동부(안양천 동쪽)와 경기도 광명시(옥길동 제외) · 안양시 일부(석수동, 박달동)를 관할구역으로 하였다. 1914년 4월 1..

[20230323]1989년 소멸된 옛 시흥군의 1975년 관내도

2023.03.23/ #아카이브 #옛지도 #시흥군 #1975년/ 1989년 소멸돼 사라진 시흥군의 1975년 무렵 관내도. 1975년 발행된 제15회 시흥군 통계연보에 실린 자료이다. 시흥군(始興郡)은 1895년부터 1988년까지 존재했던 경기도의 행정 구역으로 가장 번창했을 당시 안양시 중앙동(현 안양일범가)에 군 청사가 자리했었으며 소멸 직전에는 안양6동 현 만안평생교육센터 자리에도 잠시 있었다. 원래의 시흥군은 현재의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에 군청을 두고, 서울특별시 금천구를 중심으로 영등포구(양화동 제외) · 관악구(남현동 제외) · 동작구 일부(신대방동, 상도동) · 구로구 동부(안양천 동쪽)와 경기도 광명시(옥길동 제외) · 안양시 일부(석수동, 박달동)를 관할구역으로 하였다. 1914년 4..

[20230323]1989년 소멸된 옛 시흥군의 1966년 관내도

2023.03.23/ #아카이브 #옛지도 #시흥군 #1966년/ 1989년 소멸돼 사라진 시흥군의 1966년 관내도. 1967년 발행된 제7회 시흥군 통계연보에 실린 자료이다. 시흥군(始興郡)은 1895년부터 1988년까지 존재했던 경기도의 행정 구역으로 가장 번창했을 당시 안양시 중앙동(현 안양일범가)에 군 청사가 자리했었으며 소멸 직전에는 안양6동 현 만안평생교육센터 자리에도 잠시 있었다. 원래의 시흥군은 현재의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에 군청을 두고, 서울특별시 금천구를 중심으로 영등포구(양화동 제외) · 관악구(남현동 제외) · 동작구 일부(신대방동, 상도동) · 구로구 동부(안양천 동쪽)와 경기도 광명시(옥길동 제외) · 안양시 일부(석수동, 박달동)를 관할구역으로 하였다. 1914년 4월 1일..

[20230228]1975년 안양이 중심이었던 시흥군 관내도

2023.02.28./ #아키이브 #옛지도 #sine1975 #시흥군 #만문누리/ 2023년은 안앙시가 1973년 읍에서 시로 승격한지 50주년이 되는해로 만문누리 차원에서 관련 자료들을 발굴하고 있다. 오늘 올리는 이 지도는 1973년 안양읍이 시로 승격되자 곧 부천군 소래면이 시흥군에 편입된 후인 1975년 시흥군 관내도이다. 참고로 안양은 안양리(1914)→안양면(1941)→안양읍(1949)→안양시(1973년)로 변천했으며 이 지도는 안양이 시흥군의 중심이었음을 보여주는 지도이다. 지도를 보면 시흥군의 중앙에 안양시가 위치해 있고, 시흥군 군청사 역시 안양시에 소재하고 있었다.시흥군내 각 지역의 명승지를 지도에 그림으로 표시하고 있다 과천면은 관악산과 연주대 그리고 시흥항교와 청계산. 의왕면은 청계..

[지도]안양리가 포함된 서울특별시개발제한구역도

2023.02.19/ #아카이브 #옛지도 #기록 #서울특별시개발제한구역도/ 자료 출처: 국립민속박물관 지도 10매중 제10회. 복정리 · 안양리 ·신안양리 · 오류동 · 벌응절리 · 도당리 · 오정리 등에 관한 지도. 전체를 5단으로 나누어 수록함. 바탕은 노란색, 개발제한구역은 녹색, 풍치지구는 주황색임. 축척은 1:5,000임. '중앙지도문화사' 발행. '정가 300원'.

[지도]1914년 지도에 나타나는 안양천 물줄기 지형

2023.01.09/ #아카이브 #기록 #엣지도 #안양천물줄기 #1914년 1914년 제작된 군포장(軍浦場) 지도에서 안양천 물줄기를 보다. 조선총독부 경성 및 인천지방 8 측도연도 1914 수정측도 1918 제1회J 041-009-005 1:25000지도 지도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https://www.museum.go.kr/modern-history/map_list.do?scale=25 일제가 1914년 무렵 제작한 '군포장'제목의 1;25,000 지도로 당시의 안양.군포.의왕 일대 모습을 볼수 있는 근대 지도이다. 일제는 조선을 강점하고, 통치차원에서 일본군 육지측량부대를 비밀리에 파견하여 조선인 측부를 고용하여 조선 땅을 측량하기 시작하였다. 1910년 강제 합방 전까지 약도 형태의 축척 5만분의..

[지도]1974서울특별시전도속에 그려진 안양시 지도

2023.02.02./ #아카이브 #옛지도 #기록 #역사 #만문누리 #sine1974/ 2023년 올해는 안양시가 읍에서 시로 승격한지 50주년이 되는해로 관련 자료들을 발굴하고 있다. 지도는 1974년 개정서울툭별시전도로 지도 상단 우측에 안양시지도가 별도 표기돼 있어 시 승격 당시의 안양 모습을 볼수 있다. 지도명: 개정서울특별시전도(1974) 아카이브번호:67535 유뮬번호: 서14466 출처: 서울역사박물관 https://museum.seoul.go.kr/archive/NR_index.do? 내용: 는 영진문화사에서 1974년 11월에 발행한 서울시전도이다. 이 지도에는 일반적인 범례와 함께 각종 도로와 지하철 등 도시계획 관련 범례가 실려 있어 도시계획도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특히 지도 우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