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8]1971년 새서울건설약도속 시흥군 남면과 의왕면 1971년 2월 20일 필중서관에서 발행한 새서울건설약도속 시흥군 남면(현 군포시)과 의왕면(현 의왕시) 지도이다. 이 지도는 71년 당시 서울과 인근 경기도의 서울시편입예정지를 나타낸 지도로 경기도 고양군의 신도면과 시흥군의 안양읍, 성남의 대왕면 및 중부면 등 일부 지역이 서울시편입예정지로 되어 있다. 지도에 붉은 선으로 건설 예정 도로 및 교량 등이 표시되어 있고 당시 건물, 도로, 호수 등 지형 지물과 지명 등을 살펴볼수 있다. 타임머신/옛지도읽기 2024.06.08
[20240608]1971년 새서울건설약도속 안양읍 1971년 2월 20일 필중서관에서 발행한 새서울건설약도속 안양 지도이다. 이 지도는 71년 당시 서울과 인근 경기도의 서울시편입예정지를 나타낸 지도로 경기도 고양군의 신도면과 시흥군의 안양읍, 성남의 대왕면 및 중부면 등 일부 지역이 서울시편입예정지로 되어 있다. 지도에 붉은 선으로 건설 예정 도로 및 교량 등이 표시되어 있고 당시 건물, 도로, 호수 등 지형 지물과 지명 등을 살펴볼수 있다. 타임머신/옛지도읽기 2024.06.08
[20240607]서울 될뻔한 1970년 안양읍과 인근 의왕.과천 지형도 2024.06.07/ #아카이브 #옛지도 #안양/ 19 1970년대 경기도에서 서을시로 편입을 추진하던 당시에 발행된 :70년도 새서울 도로번지 도시계획약도"에 표기된 안양읍 지형과 시설들이다. 이 지도는 1970년대 필중서관에서 발행한 도시계획도이다. 타임머신/옛사진읽기 2024.06.07
[20240607]안양, 서울 편입 70년도 새서울 도로번지 도시계획 약도 2024.06.07/ #아카이브 #옛지도 #안양 #사울 #의왕 #과천/ 안양.군포.의왕.과천 등 경기도에서 서울시로 편입될 예정지구와 주요건물의 빔례, 구별 토지시가표가 수록된 1970년 당시의 지도로 서울시가 확대되는 모습을 참조할수 있다. 지도명: 70년도 새서울 도로번지 도시계획약도서울역사박물관 소장(유물번호 서울역사022845)크기: 가로 : 64.7cm 세로 : 93.5cm재질지(紙)1970년대 필중서관에서 발행한 도시계획도이다.서울시에 새로 편입될 지역(안양.의왕.괴천.소래 등)을 표시하고 있으며 지도 하단에는 서울시 토지가격과 한강개발 관련내용이 삽입되어 있다. 타임머신/옛지도읽기 2024.06.07
[20240502]1993년 안양 전파연구소 국가기록사진 2024.05,02/ #아카이브 #안양 #전파연구소 #국가기록사진출처: 한국방송정책연구원 e영상역사관 아카이브 자료실국정신문 전파연구소 탐방촬영일:1993.03.22.촬영장소: 경기도 안양 전파연구소 안양청사 1966.10.05부터 2009.8.31일까지 안양 호계동에 자리했던 전파연구소의 1993년 모습이다.한국전젱 이후인 1960년대 초 전파의 관리와 감독이 중요하게 인식됨은 물론이고 나아가서는 전파가 국가의 중요한 자산임을 인식하게 되면서 전파 관리 업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국가기관이 탄생했다.전파연구소(현 국립전파연구원)는 전파에 관한 연구를 전담하기 위하여 1966년 2월 5일 대통령령 제2397호에 의해 설립되었다. 같은 해 10월 5일 경기도 시흥군 안양읍 호계리에 전파연구소 청사를 .. 타임머신/옛사진읽기 2024.05.02
[20240415]안양 인덕원 랜드마크였던 동일방직 정문 아치 조형물 2024.04.15/ #아키이브 #안양 #옛사진 #동일방직/ 1969년 준공된 동일방직 안양공장이 있던곳으로 정문의 아치형 조형물이 랜드마크였는데 부지 매각후 아파트가 신축되면서 철거돼 사라졌다.동일방직 안양공장은 창업주인 서정익 대표가 정열을 쏟아부은 곳이다. 동일방직 인천공장은 일본의 적산을 불하받은 것이지만 안양공장은 서정익 대표가 염원하고 구상하던 방적부터 가공사까지 일관생산을 완성한 필생의 작품이며 자부심이었기 때문이다. 정헌(靜軒) 서정익(徐廷翼)은 DI동일그룹 창업주로 한국 최초의 ‘섬유 전문 엔지니어’로 평가받는다. 합섬기술을 개발 정착시킨 이른바 섬유입국(纖維立國)의 주역 중 한 명이다. 그의 아호는 그가 평소 인생의 스승으로 섬겨온 3·1독립운동의 민족지도자인 위창 오세창 선생이 지어준.. 타임머신/옛사진읽기 2024.04.15
[20240410]안양6동 언덕위 신축한 안양소방서 개청식(1977.06.18) 2024.04.10/ #아카이브 #옛사진 #안양 #안양소방서 #안양6동 #since1977 #이정범컬렉션/ 1977년 6월 18일 안양6동 372-2번지 언덕위에 새로 신축한 안양소방서 개서식 풍경이다. 안양소방서는 해방 이후인 1948년 3월 1일 시흥군 안양면에 최초로 의용소방대가 창설하며 시작된다. 한국전쟁 후 당시 경기도내 소방서는 인천소방서, 수원소방서 2곳에 불과 했으므로 소방서가 설치되지 않은 안양읍에서의 의용소방대는 중요한 소방업무를 담당하고 있었다. 소방장비는 완용펌프와 미군 잉여차 G.M.C 1대가 전부였다. 부족한 장비로 화재진압을 담당하게 되었는데 주로 인력으로 인한 진화가 대부분 이었으며 대형화재등이 발생 시에는 인근 의용소방대 연합대 소속 대원들이 함께 진압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타임머신/옛사진읽기 2024.04.10
[20240326]경기 서남부 최초 종합병원 안양병원 개원(1972년) 2024.03.26/ #아카이브 #엣사진 #기록 #기억 #안양병원 #샘병원 #since1972/ 안양 샘병원이 개인병원으로 개업했던 초창기 안양의원에 이어 안양방원 간판을 달았던 1972년 안양5동에 새 병원을 신축해 이전한 당시의 모습이다. 당시 안양병원은 지하 1층 지상 3층 30병동 병원 규모로 경기도 서남부 최초의 종합병원으로 승격받아 운영됐다. 사진과 글 출처는 국민일보에 연재된 [역경의열매]이상택(9) 편에 실린 이상택 샘병원 설립자의 회고록이다.(2023.07.04일자) 안양병원은 1967년 11월 안양1동에서 작은 개인 의원으로 출발했다. 당시에는 부인인 황영희 박사가 원장을 맡았다. 이상택.황영희 부부는 의원을 병원급 규모로 키워 1972년 5월 1일 안양5동에 안양병원의 문을 열었으며 .. 타임머신/옛사진읽기 2024.03.26
[20240319]샘병원 초창기 안양1동 안양의원(since1969) 2024.03.19/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기억 #안양병원 #since1969/ 안양병원의 초창기 시절로 1967년 안양1동(현 안양일번가)에서 개인병원으로 개업한 안양의원(사진 뒤 흰색건물)과 주변 모습이다. 사진속 간호원이 안고있는 아기가 이상택.황영희 부부의 큰아들(돌이 갓 지났을때)로 현 샘병원의 모체인 의료법인 효산의료재단 이대희 이사장이란다. 사진과 글 출처는 국민일보에 연재된 [역경의열매]이상택(12) 편에 실린 이상택 샘병원 설립자의 회고록이다.(2023.12.2일자) 안양병원은 1967년 11월 안양1동에서 작은 개인 의원으로 출발했다. 당시에는 부인인 황영희 박사가 원장을 맡았다. 이상택.황영희 부부는 의원을 병원급 규모로 키워 1972년 5월 1일 안양5동에 안양병원의 문을 열.. 타임머신/옛사진읽기 2024.03.19
[20240314]1970년대 안양6동 현충로 주변 모습 2024.03.14/ #아카이브 #옛사진 #안양 #냉천동 #충혼탑 #농촌지도소 #since1970 #이정범컬렉션/ 주접동이라 불렸던 안양6동 현충사거리에서 현충탑( 1970-90년대에는 충혼탑이라 불렀음) 올라가는 도로(현 현충로)의 1970년대 모습으로 안양시청 홍보실에 근무했던 이정범 선생이 사진으로 남긴 기록이다. 정면에 현충탑 올라가는 돌계단이 보이고 그 왼쪽으로 보이는 집들이 소골안 마을의 시작점이다. 사진 중앙에 보이는 도로(현 현충로)에서는 주민들이 진입도로 확장후 소쿠리에 담아온 마사토를 길에 뿌리며 정비사업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도로 왼쪽에 건물이 보이지 않지만 농촌지도소(현 안양문화원 자리)가 있었으며 그위쪽으로 전봇대가 보이는 곳 왼쪽 땅에는 1976년에 안양소방서가 건립되었다. 현.. 타임머신/옛사진읽기 2024.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