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보따리/기억

[기억-정진원]의왕 백운호수

안양똑딱이 2017. 3. 18. 18:18

요즈음 그럴듯하게 말해서 호수이지, 처음에는 그곳을 ‘수리조합’이라 하였고, 한참 후에는 ‘저수지’라고도 불렀었다. 6ㆍ25 전쟁 몇 년 후부터 물막이 공사가 시작되었던 듯하다. 산허리를 끊어내고, 남포를 터뜨리고, 둑 막기 흙을 나르기 위해서 쇠로 된 간이 레일을 깔고, 그 위를 소형 흙차가 달리는 모양이 아주 신기하게 보였었다. 상당히 많은 인부들이 분주하게 일하고 있었으며, 그 때 공사 감독자를 십장이라고 불렀던 것 같았다. 외지인들이 많이 들어와 일했으므로, 그 쪽 동네 분위기는 우리네와 아주 달랐었다. 19세기 중반 미국 서부의 골드러시, 북적대던 곳의 모양이 그랬을 거라고 생각해 본다. 

양지편에서 학현 쪽을 잇는 제법 긴 제방이 만들어졌다. 제방 북쪽 끝에서 저수지 물 안쪽으로 난 좁은 철 난간 통로를 나가면 수문이 있는 작은 정자 같은 것이 있었다. 농사철에는 수문을 열어서 물을 방류하여 아랫벌 논으로 흘려 넣었다. 그럴 목적으로 저수지를 만들었던 것이다. 제방 남측으로는 시멘트로 무넘기 둑을 만들어 물이 일정한 수위를 넘으면 넘쳐흐르게 해 놓았다. 무넘기 아래 수로 위로는 구름다리를 만들었는데, 그 다리의 난간이 만들어지지 않았던 때에 나는 그곳을 감히 건너가지 못했었다. 다른 친구들은 다 건너가 피안에서 차안의 나를 보고 (비)웃고 있었는데, 그것은 그 후 오랫동안 내 마음 속에 콤플렉스로 남아 있었다. 물을 가두는 데만도 몇 년이 걸렸던 것 같았다. 물이 차오르면서 논밭들이, 그 사이를 가로지른 길들이 물에 잠겨 흔적도 없어지게 되었다.

물이 차올라 그럴듯한 호수가 되면서 물속에 고기보다도 낚시꾼들이 먼저 그곳에 몰려들었다. 토요일, 일요일이면 많은 사람들이 몰려와서는 그 넓은 호수의 주변에 빙 둘러 앉아서 낚시질을 했었다. 찌를 띄워서 하는 보통 낚시가 대부분이었으나, 낚싯봉에 떡밥을 비벼 붙여서 멀리 던져 넣은 다음 방울 대에 잡아매어 방울이 울리면 걷어 올리는 방울낚시도 하였다. 주로 붕어 낚시였는데, 그곳 물이 신통치 않았는지 월척 소문은 별로 듣지 못하였다. 그 낚시꾼들 사이에 작고하신 내 선친도 끼어 앉아 계셨다. 그 분은 백운호수 덕분에 낚시를 시작하시더니, 나중에는 아주 매니아가 되었다. 마침 대숲이 바깥 마당가에 있어서 웬만한 낚싯대는 거기서 조달하셨다. 

돌아가신 아버지는 덕장골 동편 찔레꽃 개울가 논둑길을 걸어서, 구렁굴을 지나, 한직골 개울을 건너 백운호수로 낚시를 다니셨다. 낚싯대를 메고 걸어가시는 아버지의 발걸음이 언제나 아주 가볍게 보였었다. 새벽부터 나가셔서 저녁 늦게야 돌아오셨다. 우리 아버지 생전에 자식으로서 기쁘게 해드린 일이 없지만, 낚시와 관련해서 한 가지만은 아주 흐뭇하게 여기셨을 것이다. 낚시하는 아버지께 어린 걸음으로 한 시간이나 걸어서 점심 도시락을 날라다 드리곤 하였으니, 그 때 우리 아버지는 이태백, 도연명이 부럽지 않은 가장 행복했던 때였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낚시만은 부전자전이 아니었다. 나는 낚시에는 취미가 전혀 없었다. 당시 내가 ‘낚시질이 멋진 일이지만 언제나 살생하는 막대를 잡고 있으며, 바둑이 좋은 오락이지만 또한 전쟁의 마음이 움직인다.’라는 채근담(菜根譚)의 한 절을 알고 있었을 리 만무한 일이었겠지만, 더운 날씨에 그렇게 쭈그리고 앉아서 낚시하는 사람들이 어린 내 눈에도 안 되어 보이고, 답답해 보일 뿐이었다.

그곳이 소로우((H. D. Thoreau)가 좋아서 살았던 월든(Walden) 호수가 되었으면 싶었다. 그곳 송말 언덕배기 위에다 작은 집이라도 짓고 아침마다 그 호수의 표면에서 오르는 물안개를 바라보며, 이따금씩 날아다니는 물새를 동무 삼아 살고 싶었었다. 겨울이면 얼어붙은 호수 위의 달그림자를 바라보면서 호롱불을 밝혀 좋은 책이라도 읽으면서 살고 싶었다. 그곳이 예이츠(W. B. Yeats)의 호도(湖島)가 되게 하고 싶었다. 호수 가운데 작은 섬은 내 마음 속에다 만들면 될 것으로 생각했었다.

   

       나 일어나 이제 가리. 밤이나 낮이나

       호숫가에 철썩이는 낮은 물결 소리 들리나니

       한길 위에 서 있을 때나 회색 포도 위에 서 있을 때면

       내 마음 깊숙이 그 물결 소리 들리네.

                       (예이츠「이니스프리의 호도」 한 연)

  

전쟁 후에 거기엔 수리조합 사무실인가가 있었고, 노란 염료와 사카린을 풀어 만든 미적지근한 오렌지 주스를 팔던 가게 하나만 있었다. 조금 돌아가면 친구가 살고 있는 능안 올라가는 길이 나오고, 왼쪽으로 산모롱이를 돌면 또 친구네 집이 있었다. 호수를 바라보는 데는 그 집이 가장 좋은 위치였는데, 그 후에 팔았다는 말을 듣고 내 집을 잃어버린 것처럼 무척 섭섭했었다. 거기서 조금 나아가면 지금 의왕시청으로 넘어가는 고갯길 입구를 지나가게 되고, 언덕길을 조금 올라가면 오린개, 송말 등이 호수를 내려다보고 있었다. 

얼마 전 백운호수를 찾았다. 이제는 무슨 카페에다, 레스토랑에다, 라이브에다 호수가 온통 물속까지 뒤집혀버렸다. 그야말로 불야성 안에 야단법석이다. 호수 물속 깊이 들어가 박힌 오색 네온 빛에 호수 밑 수초 사이에 잠자던 붕어도 죽고, 제방 돌 틈 사이에 있던 구구리도 놀라 기절했을 것이다. 낚시꾼도 앉을 자리가 없어졌는데, 소로우는 누구고, 예이츠는 또 누구냐. 붓골 언덕 위에 오두막을 지어 ‘아내는 종이에 바둑판을 그리고, 애들은 바늘을 두들겨서 낚시를 만들게’(두보<杜甫>) 하고, ‘산 열매를 애들과 같이 따고, 언덕의 밭을 아내와 함께 매고’(한산<寒山>) 싶었는데, 강호가 나보다 먼저 늙어, 병이 깊었다.

 

수필가이자 문학박사인 정진원 선생은 의왕시 포일리 출신(1945년생)으로 덕장초등학교(10회), 서울대문리대 지리학과를 졸업했으며 서울대 대학원에서 지리학, 석·박사과정을 마쳤다. 박사학위논문으로 ‘한국의 자연촌락에 관한 연구’가 있다. 성남고등학교 교사, 서울특별시교육청 장학사, 오류중학교 교장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