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사진기록 2038

[20250402]안양 수리산 중공군 말 동굴 기록 소환(2013.11.08)

2025.04.02/ #아키이브 #사진 #기록 #수리산 #동굴 #한국전쟁 #중공군/ 한국전쟁 당시 중공군이 말을 넣어두었던 수리산 동굴. 한국전쟁사, 시흥군지, 안양시지 등의 자료와 안양 담배촌 토박이 원로의 증언, 수리산 전투 참가 구술기록 등을 보면 한국전쟁 당시 수리산 전투는 치열했다. 그러나 지금은 아름답기만한 수리산이 6일간의 전투의 포화 속에서 신음했음을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미 제8군의 서부전선을 담당한 미 제1군단의 터어키여단, 미 제25사단, 한국군 제1사단 15연대는 1월 31일부터 안양 남쪽에서 수리산-모락산을 공격하였다. 수리산은 영등포로 통하는 국도와 반월리를 거쳐 소사 및 인천으로 통하는 도로를 통제할 수 있는 중요한 감제고지였다. 수리산에는 전투가 치열했던 만큼 인민군..

[202503402]수리산 임업시험림 관리사무소 기록 소환(2013.11.08)

2025.04.02/ #아카이브 #사진 #안양 #수리산 #임업시험림 #관리사무소 #since2013/ 안양시 만안구 병목안로 312에 있던 기와집 한채. 수리산 입업시험림 관리사무소다. 지난 2013년 처음 이곳을 칮았을때 건물은 비어 있었으며 건물앞 벽에 수리산 임업시험림 현황도지도가 걸려있었다. 건물이 자리한 산자락 오른쯕 아래에는 돌석도예박물관이 있으며, 아름드리 나무 등 주변 풍관이 멋지다.이 건물은 19500-70년대 수리산에 식재했던 나무들인 관리했던 곳으로 추정되나 어느곳에서도 이에 대한 기록을 찾을수 없다.  건물앞 땅 바닥에서는 도자기편을 잔뜩 발견돼 이곳이 과거 도자기 굽던 곳이 아닐까 발굴 및 사실 조사가 필요해 보인다.  안야시가 부지와 건물을 매입해 리모델링을 하면 작가들 레지던스..

[20250402]안양사 7층전탑 발굴 기록 소환(2012.08.04)

202504.02/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소환 #安養寺  #안양사지 #칠층전탑 #발굴 #since2012/ 1100년만에 실체를 드러낸 안양사  7층전탑  ' 신증동국여지승람 ' 등 기록속에 고려태조 왕건이 세운 안양사  7 층 전탑(塼塔)이 남쪽 방향으로 쓰러진 형태로 벽돌 - 기와 - 벽돌 순으로 쌓여있다. 아쉬운 것은 칠층전탑지는 발굴을 통해 획인한후 다시 땅속에 묻혔다. 이탈리아 로마 유적지 등 외국의 사례 처럼 전탑지를 유리관으로 덮어 안양사지를 방문하는 관람객들이 쓰러진 칠층 전탑 모습을 볼수 있도록 하면 어떨까 싶다.       경기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212-1번지 옛 유유 안양공장이 세워진 중초사(中初寺) 터가 고려 태조 왕건(877~943)이 세운'안양사'(安養寺) 였다는 사실..

[20250402]안양9동 병목안 웃굿당 기록 소환(2013.10.22)

2025.04.02/ #옛사진 #기록 #기억소환 #수리산 #병목안 #웃굿당 #무속 #since2013/ 안양9동 병목안캠핑장 오른쪽 수리산힌증막 뒷편 산능선에 자리한 웃굿당으로 무속인들이 굿을하러 오는 곳이다. 제3경기도립공원인 수리산의 안양쪽 관문인 안양9동 병목안과 창박골에는 다른곳에는 없는 아주 톡특한 곳들이 오래전부터 자리하고 있다. 그중 하나가 무속인들이 찾아와 치성을 드리는 굿당이다. 1970년대 이전만 하더라도 집에서 굿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으나 사회 변화와 무속에 대한 거부감등으로 도심과 떨어진 산중을 찾아 치성을 드리면서 굿당이 생겨나기기 시작했다.1980년대 이전만 해도 수리산에는 3개의 굿당과 수십개의 기도처가 있었다. 대표적인 곳이 현재의 병목안 캠핑장 골짜기로 관리사무소 위 아..

[20250331]안양 학의천 흙길 산책로 쉼터 <학운습지>

2025.03.30/ #도시기록 #안양 #학의천 #학운습지 #쉼터/ 물소리 들으며 잠시 쉬어가기 좋은곳. 학운공원 아래 학운습지. 안양시는 지난 2004년 안양천에 연현습지, 화창습지, 비산습지 등 3개소 학의천에 학운습지, 동안습지 2개소 등 총 5개의 습지를 조성했다.생태계의 보고(寶庫) 습지란 하천이나 연못, 늪으로 둘러싸인 습히고 축축한 땅을 말한다. 'Welland'라는 책에서 습지는 생물의 슈퍼미켓이라 비유되었을 정도로 다양한 생물의 집합소라고 할 수 있다.하지만 학의천에 조성한 습지 두곳에는 아쉽게도 생물이 없다. 다만 특정 경관을 개선하고 하천의 생태적 기능을 강화하고 수잘개선과 쉼터의 역할을 하고 있다.

[20250331]가장 아름다운 계절 "연두빛 세상" 시작됐다

2024.03.30/ #도시기록 #안양 #학의천 #연두 #싱그러움/ 꽃보다 더 아름다운 연두빛 세상이 시작됐습니다. 눈을 즐겁게 하는 계절이지요. 연두빛 시기가 지나면 짙푸른 녹음의 세상이기에 전 눈을 즐겁고 행복하게 하는 싱그러운 연두빛 세상이 더 좋기만 합니다. 연두빛이 가장 아름다운 곳을 찾다 보면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 제가 즐겨찾는 안양천과 학의천 변도 그중 하나입니다.

[20250331]안양천과 지천에 안양시 상징 노란개나리꽃 만발

2025.03.28/ #도시기록 #안양 #삼막천 #개나리군락지/ 안양 학의천 학운공원과 비산동 미룡아파트앞. "나리나리 개나리 입에 따다 물고요. 병아리떼 쫑쫑쫑 봄나들이 갑니다~~". 안양시 상징꽃(시화) 개나리. 은백의 목련과 분홍빛 진달래에 앞서 노랑 개나리꽃이 안양천과 지천에 만발하면 하천에 투영되는 노란 물빛과 어우러져 그야말로 멍 때리지요. 개나리는 개화 시기가 빠르고 군락을 이루면서 피어나기 때문에 봄철 풍경을 화사하게 만듭니다. 예로부터 봄이 되면 개나리를 보며 새해의 활력을 얻고자 하는 의미로 감상하는 전통이 있었다고 한다.특히 개나리는 번식력이 강하고, 꽃 모양이 우아해 안양시의 상징꽃(시화)이다. 개나리꽃이 만개할때 아름다운 모습을 볼수 있는 명소는 안양천 덕천교~명학대교, 쌍개울~충..

[20250329]이삿철, 골목에서 발견되는 옛 혼수품 자개장

2025.03.26/ #도시기록 #안양 #골목 #자개장 #이사철 / 안양 원도심인 만안구 동네 골목을 지나다보면 이사철을 맞아 버려진 가구, 액자 등 각종 페기물들을 보게된다. 오늘은 안양6동 골목에서 자개장을 만났다. 자개장은 오래전 시집갈때 혼수로 가져가던 귀한 가구였다. 버려진 자개장 그림이 아주 정밀한 고급제품은 아니지만 장롱 문짝에 그림들이 곱다. 전통사회에서 현대로 넘어오면서 사회 전반이 급격하게 변화하였고 혼례의 절차와 형식을 비롯해 혼수 품목의 구성 역시 빠르게 바뀌었다. 196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에 이르는 동안 혼수품 하면 빠질 수 없는 것은 단연 자개장이었고, 당시 결혼을 앞둔 여성에게는 선망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어머니와 할머니 세대가 소유했던 자개장은 남다른 매력으로 그 시..

[20250328]안양천변에 핀 보라유채꽃 2025년 처음 보다

2025.03.28/ #도시기록 #소래풀 #안양천/ 안양천변에 보라빛 소래풀(버라유채꽃)이 새색시 모양 어여쁜 모습을 드러냈다. 작년에는 보가 어려웠는데 금년에는 많은 개체가 하천변 곳곳에서 군락지 형태로 나타날듯 싶다. 소래풀은 중국이 원산지로 국내에서는 소래포구에서 처음 발견되어 소래풀이라고 부른다는데, 아니라는 얘기도 있다. 이 꽃은 양귀비목 십자화과로 제갈채(諸葛菜), 보라유채, 제비냉이 등 달리 부르는 이명(異名)도 많다. 자료를 찾아보니 소래풀을 중국 사천성 일대에서는 제갈채라 부르는데 이는 제갈량이 전쟁터에 주둔할 때 가장 먼저 시킨 일이 주변의 빈 땅에 이 소래풀을 심게 했다는 데 전장에서 군량미 대용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소래풀은 7가지 장점이 있는데 1. 식량대용이 가능하고 2. 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