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머신 797

[20250305]1750~1768년경 八道郡縣地圖 금천현(衿川)

2025.03.05/ #아카이브 #옛지도 #기록 #팔도군현지도 #과천현/  팔도군현지도는 1750년~1768년경에 제작된 지도책이며 4.2cm 방안위에 전국의 모든 고을이 동일한 축적으로 그려진 지도다. 경기도 38개 고을, 충청도 54개 고을, 평안도 42개 고을을 3책으로 엮은 지도책으로 지도의 내용은 ≪朝鮮地圖≫(도서번호: 奎16030)와 동일하다.  금천현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금천구·관악구와 안양천 동쪽의 구로구 및 동작구의 대방동·상도동, 경기도 광명시의 대부분과 안양시의 박달동 일대에 해당된다. 읍치는 금천구 시흥동의 금청구청 근처에 있었으며, 고을의 鎭山은 읍치 오른쪽에 표시된 三聖山(478m)이었다. 지도 위쪽으로 한강이 보이고 있으며, 남쪽에서 지금의 안양천이 합류된다. 안양천은 ≪신증..

[20250305]1750~1768년경 八道郡縣地圖 과천현(果川)

2025.03.05/ #아카이브 #옛지도 #기록 #팔도군현지도 #과천현/ 팔도군현지도는 1750년~1768년경에 제작된 지도책이며 4.2cm 방안위에 전국의 모든 고을이 동일한 축적으로 그려진 지도다. 경기도 38개 고을, 충청도 54개 고을, 평안도 42개 고을을 3책으로 엮은 지도책으로 지도의 내용은 ≪朝鮮地圖≫(도서번호: 奎16030)와 동일하다.  과천현은 경기도 과천시, 속달동·둔대동·대야미동을 제외한 군포시, 박달동 일대를 제외한 안양시, 상도동·대방동을 제외한 서울특별시 동작구, 서초구의 대부분에 해당된다. 읍치는 과천시 관문동 일대에 있었으며, 고을의 鎭山은 읍치 위쪽에 표시된 冠岳山(631m)이다. 지도 위쪽에는 한강이 보이고 있으며, 북쪽 방향에 露梁(津)과 銅雀(津)이 표시되어 있다...

[20250304]1899년 간행 시흥군읍지(京畿道始興郡邑誌)

2025.03.04/ #아카이브 #기록 #옛지도 #시흥군 #since1899 #안양 #군포 #금천/ 1899년(光武3)의 전국적인 읍지 편찬 사업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경기도시흥군읍지-始興郡 邑誌』〈규 10711〉에 수록된 경기도 시흥군(始興郡) 지도로 현재의 서울 금천구와 구로구를 중심으로 인근 안양지역의 산세를 보여주고 있다. 서울특별시 금천 지역 읍지류경기도시흥군읍지(京畿道始興郡邑誌)청구기호: 奎 10711역할: 편찬 시흥군(始興郡)간행지역: 경기도 시흥군 / 서울특별시, 경기도 광명시, 경기도 안양시간행연도: 1899크기: 세로 : 32.5 가로 : 22.4판본: 필사본장정: 칠침선장(七針線裝)수량: 1책 6장판식: 朱絲欄印札板, 四周雙邊, 半葉 10行 字數不定재질: 표지: 능화문황지(菱花紋黃紙)..

[20250228]1957년 발행한 군포장(軍浦場) 지형도

2025.02.28/ #아카이브 #옛지도 #기록 #군포장 #since1957/ 1957년 2월 10일 상능공업사 발행 축척1:50,000 군포장 지형도. 서울, 인천, 부천, 시흥, 화성 등 표기.출처: https://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344000300005700000 군포장 지형도 - e뮤지엄 소장품검색군포장 지형도 시흥오이도박물관 / 기타지정 원본 해상도 5894 * 3929 이미지 다운로드 명칭군포장 지형도 국적/시대한국 - 광복이후 재질종이 - 기타 국가지정유산기타지정 소장품번호 구입 57 제www.emuseum.go.kr 명칭: 군포장 지형도소장: 시흥오이도박물관원본 해상도:  5894 * 3929재질: 종이 - 기타소장품번호: 구입 57

[20250227]미 육군지도국이 1946년 제작한 군포장 지도

2025.02.27/ #아카이브 #옛지도 #군포장 #미육군 #since1946/ 명칭: 군포장(1946년 미육군지도국 제작) 지도출처: https://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202500801095300000 군포장 지도 - e뮤지엄 소장품검색군포장 지도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원본 해상도 6294 * 4196 이미지 다운로드 명칭군포장 지도 다른명칭한반도 지역별 지도 국적/시대한국 - 광복이후 분류전통과학 - 지리 - 지도 - 군현지도 재질종www.emuseum.go.kr 소장: 대한민국역사박물관명칭:군포장 지도재질: 종이작가: 미육군지도국(U.S. Army Map Service)소장품번호: 구입 10953 1946년 미육군지도국(U.S. Army Map Serv..

[20250227]1930년대 안양공립보통소학교 조회장면

2025.02.27/ #아카이브 #옛사진 #역사 #since1930년대/ 안양공립보통소학교 조회장면. 사진 촬영시기 미상안양박물관 소장원본 해상도 617 * 452명칭: 안양공립강습소 조회장면국적/시대한국: 시대미상분류미디어: 기록물,사진기록, 사진재질합성재질: 합성수지크기: 가로 25.3cm, 세로 18.7cm소장품번호: 기증 15 안양공립소학교(현 안양초등학교)는 안양시 만안구 안양5동 우체국사거리 중화한방원 뒤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로 1929년 12월 20일 안양공립소학교로 개교했으며 2024년 제 92회 졸업생(144명)까지 그동안 39,975명을 배출한 안양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학교로 개교 당시에는 4년제로 유지되다가 후에 6년제로 바뀌면서 안양 교육 발전에 초석을 다졌다.

[20240227]1960년대 안양 석수동 산자락의 탄약 저장고

2025.02.27/ #아카이브 #옛사진 #탄약고 #안양 #석수동 #석수산 #주한미군 #83병기대대 #since1968 안양 석수동에 있던 미 83병기대대가 관리하던 탄약 저장소 모습으로 현재의 석수체육공원 뒷산인 석수산이다. 83변기대대 전령(우편병)으러 근무했던 닐미샬로프가 기록한 사진이다. 어릴적 안양시 석수동 경부선 철길위 안양육교가 놓여지기전 철도건널목이 있을 당시 버스를 타고 서울을 다녀오다 건널목을 지날 무렵 창밖으로 보면 산자락에 콘세트 막사 형태의 탄약저장소가 있던 모습을 보았다.이 탄약고는 석수동에 있던 미 8군에하으 83병기대대가 박달동 군용지 탄약고와 함께 운영하고 관리했다. 미 83병기대대는 특수탄약을 관리하던 부대로 박달동 수리산 자락의 군용지라 불리우던 탄약 벙커에 있던 전술 ..

[20250225]1938년 안양공립보통소학교 제8회 졸업

2025.02.26/ #아2025.02.26/ #아카이브 #옛사진 #역사 #since1938/ 안양공립보통소학교 제8회 졸업기념사진. 소화13년(1938년) 3월에 찰깍안양공립강습소 졸업기념국적/시대한국 - 일제강점분류미디어 - 기록물 - 사진기록 - 사진재질합성재질 - 합성수지크기가로 25.3cm, 세로 19.1cm안양박물관 소장품 번호 기증 14 안양공립소학교(현 안양초등학교)는 안양시 만안구 안양5동 우체국사거리 중화한방원 뒤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로 1929년 12월 20일 안양공립소학교로 개교했으며 2024년 제 92회 졸업생(144명)까지 그동안 39,975명을 배출한 안양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학교로 개교 당시에는 4년제로 유지되다가 후에 6년제로 바뀌면서 안양 교육 발전에 초석을 다졌..

[20250225]시흥군청 표기된 1918년 영등포(永登浦) 지도

2025.02.25/ #아카이브 #옛지도 #기록 #시흥군 #since1911/ 시흥군청이 영둥포에 있던 1911년 발행된 영등포 지도1918년 영등포(永登浦)지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 문서 측도연도 1917 제판연도 1918 J099-030-006 1:10,000 조선시대 경기 시흥동(현 금천구)에 있던 시흥군청 소재지가 일제강점기인 1910년 영등포로 이전한다. 이 지도는 1918년 발행된 영등포 지도로 영등포 일대의 지형지물이 상세하게 표기돼 있다.자료를 보면 시흥군청은 1911년부터 1949년까지 지금의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 경인국도 언덕배기에 있었다. 일제 때에는 현 영등포구의 절반과 대림동 일대까지 시흥군에 속했을 정도였다고 한다.행정구역상 아주 거대했던 시흥군의 역사를 보면 1910년..

[20200223]海東地圖(해동지도) 금천현

2025.02.23/ #아카이브 #고지도 #해동지도 #금천현 #규장각 #시흥군 #과천 #안양 #군포 #의왕/ 海東地圖 해동지도 (고대4709-41)_금천현  편저자 : [作者未詳]청구기호 : 古大4709-41-v.1-8간행연도 : [18世紀(英祖 年間:1724-1776)]책권수 : 8帖판본사항 : 筆寫本 해동지도(제작시기: 1750년대 초, 규격: 47.0×30.5cm, 구성: 8책)는 1750년대 초에 제작된 회화식 군현지도집. 이 지도집에는 조선전도, 도별도, 군현지도 뿐만 아니라 세계지도(<천하도>), 외국지도(<중국도>, <황성도>, <북경궁궐도>, <왜국지도>, <유구지도>), 관방지도( <요계관방도>) 등이 망라되어 있다. 민간에서 제작된 지도집이 아니라 국가적 차원에서 정책을 결정하는 데 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