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머신 797

[20250317]1920년대 조선여행 팜플렛 안양(安養)역 한자 표기

2025.03.17/ #아카이브 #옛지도 #경부철도 #since1920/  일제강점기 당시 발행한 조선여행안내 팜플렛. 경부선 철도의 안양역 한자 표기가 安養(편안할 안에 기를양)으로 되어있음을 볼때 1920-30년대 발행된것으로 추정된다.   옛지도와 고문서들을 보면 안양 한자 표기인 安養(편안할안에 기를양)과 安陽(편안할 안에 볕양)은 조선시대부터 지도와 문서에 따라 혼용 표기 사용됐음을 보여주는데 이는 일제강점기 지도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일제강점기인 1905-1910년 발행된 근현대 지도를 살펴보면 安養과 安陽이 오락가락하며 표기되는데 1910년대 이전 발행한 지도에는 대부분 한자 표기를 볕양으로 명시한 安陽으로 표기했으며 1912년 이후부터는 기를양으로 명시한 安養으로 바뀌었다. 발행년도 : 일..

[20250317]1905~1910년 발행 경부선 철도 노선 약도

2025.03.17/ #아카이브 #옛지도 #경부철도 #since1905/ 일제강점기 당시 빌행한 경부철도선로약도. 안양 한자 표기가 安陽(편안할 안에 볕양)으로 되어있음을 볼때 경부선 개통 직후인 1905-1910년 무렵 발행된것으로 추정된다. 안양 한자 표기인 安養(편안할안에 기를양)과 安陽(편안할 안에 볕양)은 조선시대부터 지도와 문서에 따라 혼용 표기 사용됐음을 보여주는데 이는 일제강점기 지도에까지 영향을 미쳤다.일제감점기인 1905-1910년 발행된 근현대 지도를 살펴보면 安養과 安陽이 오락가락하며 표기되는데 1910년대 이전 발행한 지도에는 대부분 한자 표기를 볕양으로 명시한 安陽으로 표기했으며 그 이후부터는 기를양으로 명시한 安養으로 바뀌었다. 발행년도 : 일제강점기(미정)제작자 : 미정크기 ..

[20250316]18세기 지도 여지도(輿地圖) 경기도편

자료명 : 여지도(輿地圖)작성주체 : 편자미상(編者未詳)작성시기 : 간년미상(刊年未詳)형태사항 : 크기: 33.5×39.1cm / 판본: 목판본(木版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7.2×34.2㎝ / 인장정보: 藏書閣印청구기호 : K2-4562마이크로필름 : MF35-4085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https://jsg.aks.ac.kr/viewer/viewIMok?dataId=K2-4562%7C001#node?depth=2&upPath=001&dataId=001 이미지뷰어 - 디지털장서각서지사항  표지서명이 ‘輿地圖’로 서명은 표지서명을 따른다. 표지 장황은 1971년 개장한 것으로 민무늬 회색의 두터운 종이를 사용하였고, 본 표지는 민무늬에 짙은 ..

[20250311]1969년 안양 금성방직과 태평방직 공장 내부

2025.03.11/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역사 #금성방직 #태평방직 #since1969/ 사진속에 등장하는 금성방직과 태평방직은 1960-70년대 안양은 물론 시흥군 지역 경제의 큰축을 담당했던 공장으로 사진은 1969년 7월 1일 12대 남봉진 경기도지사의 시흥군 안양읍 금성방직과 태평방직 공장 방문 당시의 모습이다.(사진출처: 경기도청 뉴스포털) 금성방직은 현재의 안양3동 국민은행 안양지점과 왕궁예식장 뒷편에서 박달동 우성아파트에 이르는 면적을 차지해 공장 담벼락을 따라 한 바퀴 돌려면 십리길을 걸어야 한다고 말할 정도로 안양 도심의 중심 대부분을 차지했다.금성방직은 경북 달성군 현풍 출신으로 향후 쌍룡그룹 창업주가 된 김성곤 씨가 1940년 비누회사인 삼공유지합자회사를 설립, 크게 성공한 ..

[20250310]1989년 안양 방문한 김대중 총재와 이희호 여사

2025.03.10/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역사/ 평화민주당 안양을지구당 사무소 개소 및 현판식 모습으로 작고하신 고 김대중 대통령(당시 평화민주당 총재) 이희호 여사, 이석현 전 의원의 모습이 담겨 있다. 전국박물관장품 검색을 하던중 김대중노벨평화상기념관에 있는 기록물에서 찾아냈다. 김대중 총재와 이희호 여사는 이날 안양을 방문하면서 평화민주당 안양시 을지구당 사무소 현판식 일정과 함께 안양2동에 있었던  '마더 테레사' 수녀가  창설한 사랑의선교수녀회 안양분원과 양로원을 방문하고, 안양8동에 있던 노동회관에서 노조 임원들과 간담회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안타깝게도 노벨평화상기념관 사진 기록에 촬영일자가 없다. 이석현 전 의원에게 확인을 요청했다니 1990년 4월20일로 추정된다고 전해왔다. 하지..

[20250310]정조대왕 축조한 안양 만안교 1970년대 원형 모습

2025.03.10/ #아카이브 #옛사진 #만안교 #안양 #정조대왕 #시흥대로 #1번국도 #만안로/ 안양문화원이 발행한 안양문화 제3호(1984년 12월31일 발행) 속지에 실린 만안교 옛 다리 모습이다. 만안교는  1980년에 국도 확장 때 지금의 자리로 옮겨 복원되었다. 사진은 만안교가 현재의 삼막천 자리에 이전 설치되기전인 1970년대 후반에 찍은 것으로 보인다.  사진을 보면 아래 교각 대부분이 땅속에 묻혀있다. 일제로부터 광복 이후 국도 1호선 도로를 아스팔트로 포장 공사하면서 석교 다리위에 콩타르를붓고 콘크리트 난간을 설치하는 등 아름답던 만안교 다리 원형을 상당 부분 변형시켰음을 보여준다. 사진 뒤로 보이는 하얀 건물은 대륙석면(한국슬레트) 고무공장으로 현재의 영화아파트가 들어선 자리다. 사..

[20250309]1919년 3월 시흥보통학교 동맹휴교 만세운동 보도

2025.03.09/ #아카이브 #옛신문 #기록 #역사 #since1919 #만세운동 #시흥보통학교/ 조선총독부 기관지였던 매일신문 1919년 3월10일자에 실렸던 시흥보통학교 만세운동 관련기사다. 1919년 기미년 3월 1일 만세운동이 시작된 후 일주일 후인 3월 7일 11시경 경기 시흥군에 자리한 시흥공립보통학교(현 시흥초등학학교)에서 120명의 학생들이 동맹휴교를 하고 대한독립만세를 불렀고, 주모자 다섯 명이 연행됐다. 이 소식은 1919년 3월 10일 매일신보를 통해 보도됐다.연행된 학생은 훈계를 받고 풀려났지만 동맹휴교는 4월까지 계속 된 것으로 보인다. 4월1일 보통학교의 입학생은 1명이었으며, 전체 출석률을 50%에 불과했는데 당시 안양에는 6년제 학교가 없어 이 학교로 다니는 안양학생들이..

[20250307]안양 서이면사무소 한옥 원형 1980년대 안양옥

2025.03.07/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역사 #사이면사무소 #안양옥 #since1980 #안양1동 #중앙동/  안양1동(현 안양일번가)에 자리한 구서이면사무소(舊西二面事務所)가 재건축되기전 갈비집 안양옥으로 사용될 당시의 모습으로 안양문화원에서 1984년 12월31일 발행한 안양문화 제3호 속지에 수록된 사진이다.사진을 들여다보면 조선기와가 지붕에 얌전하게 가즈런히 앉아있는 모양새와 곡선의 처마선이 예쁜것이 안양시가 매입후 복원한 현재의 새 건물과는 모양새도 달라 당초 원형이 많이 달라진듯 하다. 안양옥 건물을 매입해 전면 해체 복원 보다는 원형 그대로 두었더라면 문화적 가치도 더 있지 않았을까 싶다.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장내로143번길 8(안양1동 674-271번지)에 소재한 이 건물은 1..

[20250306]안양읍(안양일번가) 당시 시흥군청사(1966년)

2025.03.06/ #안양 #옛사진 #과거 #기억 #기록 #시흥군청 #since1966/ 1960년대 안양일번가에 있던 시흥군청사. 경기 시흥군 안양읍(현 안양1동. 안양일번가)에 있던 시흥군청사로 1966년 발행된 시흥군청 통계연보 제6호 속지에 수록된 모습이다.청사 왼쪽에 지붕이 살짝 보이는데 안양읍사무소다. 군청 앞쪽에는 안양경찰서와 소방대가 있었다. 군청 뒷쪽으로 멀리 보이는 산은 의왕 모락산이다, 사진 왼쪽 뒤로 굴뚝과 공장이 보이는데 안양1동의 태평방직(진흥아파트-현 안양역푸르지오더샵)으로 안양3동의 금성방직과 함께 지역 경제를 발전 시키는데 큰 몫을 했던 곳이다 .시흥군청 건축(건축사 최승원 선생님 글)영등포구에 있던 시흥군청은 안양에 1946년 7월 튼튼히 준공됐으며, 설계는 군정시 경기..

[20250406]안양읍(안양일번가) 당시 시흥군청사(1964년)

2025.03.05/ #안양 #옛사진 #과거 #기억 #기록 #시흥군청 #since1964 경기 시흥군 안양읍(현 안양1동. 안양일번가)에 있던 시흥군청사로 1960년 발행된 시흥군청 통계연보 제4호 속지에 수록된 모습이다.  시흥군 안양읍 중앙동(현 안양일번가)에는 1970년대 초까지 시흥군청을 비롯 안양읍사무소, 안양경찰서, 의용소방대 등 관공서와 양화점, 양복점, 대서소, 다방, 식당 등이 밀집했던 다운타운이었다. 시흥군청은 현재 안양 일번가 삼원프라자호텔과 그 주변을 포함하던 곳으로 청사 뒷쪽에는 운동장이 있을만큼 매우 넓은 면적을 차지했었다.시흥군청은 1946년 7월 준공됐으며 설계는 군정시 경기도청 회계과 영선담임 홍광우洪寬祐(서울 흑석동 20의4)가 했으며 일본 강점기때 일반 풍조이던 절충주의..